본문 바로가기
하루에 하나씩 경제정리

아이 치과 치료 및 불소도포 지원 제도 | 건강보험 혜택 총정리 (2025판)

by H.S.P 2025. 9. 12.

아이의 치아 건강은 단순한 미관이 아니라 장기적 건강의 기초입니다. 영유아 및 어린이 시기에 충치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은 평생 치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제공되는 치과 치료 및 예방 서비스(불소도포, 실란트, 치아우식 등) 중 건강보험 적용 항목과 지원 제도를 정리하고, 부모가 어떻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안내드립니다.

 

 

아이 치과 치료 및 불소도포 지원 제도 ❘ 건강보험 혜택 총정리 (2025판)
아이 치과 치료 및 불소도포 지원 제도 ❘ 건강보험 혜택 총정리 (2025판)

 

 


1. 건강보험/시범사업을 통한 치과 예방 및 치료 항목

1-1. 아동구강검진 및 영유아 검진

영유아(18~65개월)는 영유아 구강검진을 4회 무료로 받을 수 있음

검진 시기: 1차(18-29개월), 2차(30-41개월), 3차(42-53개월), 4차(54-65개월)

1-2. 치아 치료 및 예방 치료 항목

치료 항목 건강보험 적용 여부 조건 / 제한
실란트(어금니 홈 메우기) 적용됨 (어금니의 씹는 면 홈이 있는 경우) 영구치 어금니에 한해, 충치 없을 경우; 하루 최대 치료 개수 제한 있음
복합레진 치료 적용됨 충치 치료 시, 영구치 해당; 치아 색 유사한 레진으로 복원
불소도포 (Fluoride coating) 시범사업 지역 및 치과주치의 프로그램 중 적용됨 비급여 항목이 일반적이나,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지역에서는 건강보험 적용됨

1-3. 아동치과주치의 건강보험 시범사업

“튼튼치아 맞춤케어”라는 이름 하에,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이 확대 중임

서비스 내용: 문진·시진, 구강위생 검사, 칫솔질 교육, 불소도포, 치면세마 등 예방 중심 서비스 포함

본인 부담률: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본인 부담금 10%; 의료급여/차상위 계층은 면제 또는 감면됨


2. 대상 및 절차: 누가 어떻게 신청하나

2-1. 대상 연령 및 지역

영유아(18~65개월) 무료 구강검진 대상자

초등학생 일부 학년(예: 서울시 1, 2, 4, 5학년 등) 아동치과주치의 사업 지역에 속하면 예방서비스 가능

2-2. 신청 방법 및 이용 절차

단계 내용
① 예방진료 가능 치과의원 또는 보건소 확인 ‘아동치과주치의’ 의료기관, 혹은 시·군·구 보건소 안내 참고
② 등록하기 치과의원 방문하여 등록 신청서를 작성 (법정대리인 동의 필요)
③ 예방 서비스 예약 및 방문 검진 + 예방진료 항목 선택 → 일정 예약 후 방문
④ 본인부담 및 혜택 확인 본인 부담률 10% 또는 면제 여부, 지역별 차이 존재

2-3. 비용 및 본인부담률

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예방 서비스 시 본인 부담금 약 10%

의료급여자·차상위 계층은 본인 부담 면제 혹은 감면 적용됨


3. 실전 팁 및 유의사항

3-1. 예방 중심 관리가 중요

아이 유치는 충치 진행 속도가 빠르므로, 초기 검진에서 충치 유무 확인 및 예방 치료(불소도포, 실란트 등) 시행 권장

불소도포는 현재 모든 지역에서 건강보험 적용이 아닌 시범사업 지역 중심임 → 사전에 치과 병원이나 보건소에 확인해야 함

3-2. 치료 가능한 항목 파악

위 표 항목처럼 실란트, 복합레진 등 어느 치료가 보험 적용 가능한지 미리 검사기관에 물어볼 것

하루에 치료 개수 제한 있는 경우 나눠서 치료 예약하기

3-3. 지역·사업 확대 여부 확인

아동치과주치의 사업은 현재 시범사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됨

향후 확대 예정인 지역 공고문, 보건복지부 발표자료 체크


4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불소도포는 전국 모든 치과에서 건강보험 적용되나요?
→ 아니요. 일반적으로는 비급여 항목이고, 건강보험 적용은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지역에 한정됩니다. 지역마다 시행 여부 다름.

Q2. 실란트 치료는 나이 제한이 있나요?
→ 영구치 어금니가 난 이후 적용 가능한 치료이며, 충치 없을 경우 홈이 있는 영구치 어금니 대상.

Q3. 비용이 얼마나 드나요? 본인 부담금은?
→ 본인 부담률은 약 10%. 예를 들어 치료비가 50,000원이라면 본인이 내는 금액은 약 5,000원 수준(보험비용 제외)일 수 있음.

Q4. 의료급여자·차상위 계층도 가능한가요?
→ 예. 시범사업 내에서는 의료급여자/차상위 계층은 본인부담 면제 혹은 감면됨.

Q5. 예방 진료 신청 절차는 복잡한가요?
→ 치과주치의 병원 등록 → 예방 진료 예약 → 검사 및 예방 치료 순으로 진행. 법정대리인 동의서 등이 필요하므로 방문 전에 치과 혹은 보건소 문의 추천.


5. 결론

아이의 치아 건강은 어릴 때부터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건강보험/시범사업을 통해 제공되는 예방 진료 및 치료 항목(구강검진, 불소도포, 실란트 등)을 잘 활용하면 비용 부담은 낮고 효과는 큽니다.

 

지금 당장 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:

지역 내 아동치과주치의 참여 치과의원 여부 확인

아이 구강검진 연령에 맞게 예약 진행

예방치료(불소도포, 실란트) 가능 여부 및 비용 확인

의료급여자 혹은 차상위계층 여부 확인하여 감면 혜택 챙기기

 

 

 

 

아이의 치아는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. 예방이 최선입니다.